Lecture 4

Link Analysis - PageRank
LEC04
Author

Jung Yeon Lee

Published

July 14, 2022

4.1 - PageRank

4강에서는 Graph를 매트릭스(선형대수)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다음 3가지 키워드, Random walk(Node Importance), Matrix Factorization, Node embedding를 중심으로 공부합니다. 강의는 총 4파트로 나누어져 진행됩니다.

The Web as a Directed Graph

웹을 거시적인 관점으로 보게되면, 하나의 웹 페이지 → Node하이퍼링크 → Edge로 생각하여 하나의 거대한 Graph로 볼 수 있습니다.

Side issue - 다이나믹하게 새로 페이지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다크웹과 같은 접근할 수 없는 페이지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잠시 Side issue는 내려놓고, 새로 페이지들이 생기지도 않고 기존의 페이지들이 사라지지도 않는 Static pages 상황을 가정해봅시다. 아래의 그림에서처럼 페이지들은 하이퍼링크들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유저는 페이지들에 달려있는 하이퍼 링크들로 이루어진 연결망을 기반으로 항해하듯이 Navigational 하게 page to page 이동을 하게 됩니다. (오늘날에는 post, comment, like 등의 기반의 transactional한 웹에서의 상호작용이 일어나지만 이는 우선 논외로 하겠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웹 그래프는 방향성이 있는 유향 그래프(Directed graph)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위키피디아와 같은 웹 사전 페이지들 간의 관계성이나 논문의 인용 관계 그래프 등에서 예시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Ranking Nodes on the Graph

웹을 하나의 거대한 유향 그래프로 생각할 때 한가지 중요한 insight가 있습니다.

💡 모든 웹 페이지들이 똑같이 중요하지는 않다

바로 각 페이지의 중요성이 똑같지 않다는 이야기는 그래프에서 각 노드의 중요성(importance)가 다르다는 말로 바꿔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직관적으로 파란색 노드가 빨간색 노드보다 더 중요할 것 같다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왜 그렇게 보일까요? 아직 노드의 중요성에 대해 정의하지 않았지만 그래프에서 각 노드를 중심으로 뻗어있는 edge(link)의 수가 한눈에 비교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웹 그래프의 link structure를 가지고 우리는 각 페이지들(node)의 ranking을 매길 수 있습니다.

PageRank

The “Flow” Model

위에서 설명한 recursive한 특성을 기반으로 중요성이 흘러가는(flow) 모델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중요성을 \(r\)이라는 변수로 두고 기준 노드 j의 importance가 어떻게 flow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j로 in-link되어있는 i, k 의 importance \(r_i\), \(r_k\)를 각 노드의 out-link의 수만큼 나누어서 j로 전달됩니다. i 노드의 out-link는 총 3개 이므로 \(\frac{r_i}{3}\), k노드의 out-link는 총 4개 이므로 \(\frac{r_k}{4}\)로 계산되어 두 값의 합이 \(r_j\)가 됩니다.
  2. \(r_j\)j노드의 out-link를 통해 flow하게 되는데 out-link의 수, 즉 3으로 나누어져 \(\frac{r_j}{3}\) 값이 각각의 다음 노드들\(r_j\)값이 전달되게 됩니다.

이처럼 importance가 높은 페이지로부터 in-link된 페이지는 영향을 받아 importance가 높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노드 \(j\)의 rank, \(r_j\)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이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d_i\)는 노드 i의 out-degree를 말합니다.)

\[ r_{j}=\sum_{i \rightarrow j} \frac{r_{i}}{d_{i}} \]

다음과 같은 예시에서 각 기준 노드를 가지고 in-link들을 고려하여 “Flow equation”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노드 y 노드 a 노드 m
y에서 오는 링크 + a에서 오는 링크 y에서 오는 링크 + m에서 오는 링크 a에서 오는 링크
\(r_y = \frac{r_y}{2} + \frac{r_a}{2}\) \(r_a = \frac{r_y}{2} + r_m\) \(r_m = \frac{r_a}{2}\)

Matrix Formulation

Stochastic Adjacency Matrix \(\mathbf{M}\)

  • \(\mathbf{M}\)\((node의 수)\times (node의 수)\)차원의 매트릭스 입니다.

  • \(i\)\(j\) 링크에서 매트릭스 요소 \(M_{ji}\)\(\frac{1}{d_i}\)가 됩니다. (\(d_i\)를 노드 \(i\)의 out-degree라고 정의합니다.)

    \[ M_{ji} = \frac{1}{d_i} \]

    오른쪽 예시에서처럼 노드 \(i\)를 기준으로 총 3개의 out-link들이 있다면 각각의 값은 \(1/3\)이 됩니다.

  • column 기준 stochastic : 열 방향의 모든 값들을 더하면 1이 되는 확률값이 됩니다.

Rank Vector \(r\)

  • \(\mathbf{r}\)은 각 페이지의 entry 값을 가지는 \((node의 수)\times 1\) 차원의 벡터입니다.
  • 각 페이지의 importance score를 \(r_i\)로 정의합니다.
  • 모든 노드의 importance score의 합은 1입니다. 따라서 이 또한 확률값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sum_ir_i = 1 \]

Flow Equations

이전에 정의했던 노드의 rank 수식을 새롭게 정의한 매트릭스 \(M\)과 벡터 \(r\)로 다시 써보면 Flow Equation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 \mathbf{r}=\mathbf{M} \cdot \mathbf{r} \]

앞서 살펴본 간단한 그래프 예시를 가져와서 flow equation을 매트릭스 연산으로 표현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flow equation은 앞내용을 참고)

Connection to Random Walk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며 랜덤하게 웹페이지들을 돌아다니고 있는 유저를 생각해보겠습니다.

  1. 시점 \(t\)에 페이지 \(i\)에 있습니다.
  2. 다음 시점 \(t+1\)에 페이지 \(i\)로부터 나가는 방향의 out-link들 중에 uniform하게 선택하여 서핑을 합니다.
  3. 앞서 선택된 out-link를 통해 \(i\)와 연결된 \(j\) 페이지에 도달합니다.
  4. 이 과정(1~3)을 무한으로 반복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시점 의 개념을 고려하여 새로운 개념 정의를 하나 할 수 있습니다.

\[ \mathbf{p(t)} \]

\(\mathbf{p(t)}\)는 확률 벡터(probability distribution)로, 이 벡터의 \(i\)번째 요소는 앞서 가정한 유저가 시점 \(t\)에 페이지 \(i\)에 있을 확률을 나타냅니다.

The Stationary Distribution

앞서 정의한 \(\mathbf{p(t)}\)를 가지고 이 유저가 시점 \(t+1\)에 있을 확률분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mathbf{p(t+1)}=\mathbf{M} \cdot \mathbf{p(t)} \]

💡 만약에 유저가 웹 서핑을 계속하다가 \(\mathbf{p(t+1)} = \mathbf{p(t)}\) 같은 상황이 되면 어떨까요?

\[ \mathbf{p(t+1)}=\mathbf{M} \cdot \mathbf{p(t)} = \mathbf{p(t)} \]

이러한 상황에서는 더 이상 유저가 특정 페이지에 있을 확률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가 되며, 이를 stationary distribution of a random walk 라고 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낮설지가 않은데, 앞서 rank vector \(\mathbf{r}\)가 매트릭스 \(\mathbf{M}\)과 flow equation을 구성할 때 이러한 꼴이었으며, 따라서 \(\mathbf{r}\)stationary distribution of a random walk 입니다.

Eigenvector Formulation

이전 Lecture 2에서 잠시 배웠던 eigenvector와 eignvalue를 생각해보면 다음 수식을 떠올려볼 수 있습니다.

\[ \lambda \mathbf{c} = \mathbf{A} \mathbf{c} \]

여기에서 flow equation을 다시 위와 같은 꼴로 작성해보면, 아래와 같이 eigenvalue가 1이고 eigenvector가 \(\mathbf{r}\)인 수식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1 \cdot \mathbf{r}=\mathbf{M} \cdot \mathbf{r} \]

따라서 \(\mathbf{r}\)은 매트릭스 \(\mathbf{M}\)principle eigenvector(eigenvalue 1)이며, 임의의 벡터 \(\mathbf{u}\)에서 시작해서 계속 매트릭스 \(\mathbf{M}\)을 곱하여 극한 \(\mathbf{M}(\mathbf{M}(...(\mathbf{M}(\mathbf{M}\mathbf{u}))))\)으로 도달하게되는 long-term distribution이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mathbf{r}\)을 구하는 방법을 Power iteration 이라고 합니다.

PageRank 정리

  • 웹 구조에서 볼 수 있는 link들을 기반으로 node들의 importance를 측정할 수 있다.
  • 랜덤하게 웹 서핑하는 유저 모델은 stochastic advacency matrix \(\mathbf{M}\)으로 나타낼 수 있다.
  • PageRank 수식은 \(\mathbf{r} = \mathbf{M}\mathbf{r}\) 이며, \(\mathbf{r}\)은 (1) 매트릭스 \(\mathbf{M}\)의 principle eigenvector,
  1. stationary distribution of a random walk 2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Original Lecture Video : CS224W: Machine Learning with Graphs 2021 Lecture 4.1 - PageRank

4.2 - PageRank, How to Solve?

이전의 강의에서 Powe iteration 방법으로 반복적인 매트릭스 곱 연산으로 \(\mathbf{r}\)을 구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 방법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Power Iteration Method

power iteration은 2가지 표현식이 있는데 하나는 벡터의 요소 관점에서의 업데이트 식(왼쪽)과 다른 하나는 매트릭스 관점의 업데이트 식(오른쪽)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처음 초기화로 모든 노드의 importance score를 똑같은 값으로 만들어 줍니다.(반복적인 연산으로 수렴을 보장하므로 사실 어떤 값으로 초기화하든 상관없습니다.) \(\boldsymbol{r}^{(0)}=[1 / N, \ldots ., 1 / N]^{T}\)
  2. 반복적인 연산을 하면서 \(\mathbf{r}\) 값을 업데이트합니다. \(\boldsymbol{r}^{(t+1)}=\boldsymbol{M} \cdot \boldsymbol{r}^{(t)}\)
  3. 수렴조건 \(\left\|\boldsymbol{r}^{(\boldsymbol{t}+\mathbf{1})}-\boldsymbol{r}^{(t)}\right\|_{1}<\varepsilon\) 을 만족할 때까지 2번 과정의 연산을 진행합니다.

예시 그래프에서의 power iteration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Three Questions

  1. Does this converge? 반복적인 연산과정을 통해 값이 수렴하는가?
  2. Does it converge to what we want? 수렴한 값이 우리가 원하는 값인가?
  3. Are results reasonable? 연산 결과가 합당한가?(말이 되는가?)

(어색한 한국어 번역보다 영어로된 질문에서 얻어가는 insight가 좋을 것 같습니다.)

Problems

PageRank에는 2가지의 문제가 있습니다.

  1. Dead Ends

out-link를 가지지 않는 일부 페이지(노드)들에서 생기는 문제로 이런 페이지들에서 importance가 leak out 됩니다. leak out의 세어나가다 라는 뜻 그대로 importance flow의 흐름에서 값이 세어나가는 문제를 말합니다.

아래의 예시에서 페이지 b에서 나가는 out-link가 없다보니 importance update를 한 결과가 \(r_a = 0, r_b=0\)이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앞서 page rank \(\mathbf{r}\) vector의 정의에서 약속한 모든 노드의 importance의 합이 1이 된다column stochastic 수학적 전제에서 벗어난 결과 입니다.

  1. Spider traps

특정 페이지의 모든 out-link들이 다른페이지로 나가지 않아 결국 spider trap 페이지가 모든 importance 값을 독차지하게 됩니다.

아래의 예시에서 a에서 walk를 시작하더라고 b로 이동한 후 b에서 빠져나올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 importance update 결과 모든 importance를 페이지 b가 가지게 되어 \(r_a = 0, r_b=1\)이 됩니다. 이런 경우 페이지 a에 아무리 큰 웹 그래프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동할 수 없습니다. 사실 spider trap은 column stochastic을 만족하기 때문에 수학적으로 문제되진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지 않는 값에 수렴하는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Solutions

위의 2가지 문제들 모두 Teleports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Dead Ends를 Teleports로 해결하기

Dead Ends인 m 페이지에서 column stochastic을 만족하지 않고 모든 값이 0이 되지 않도록 자신을 포함한 그래프의 모든 노드들로 uniform random 하게 teleport 이동을 하도록 합니다. 이때 그래프의 노드가 총 3개이므로 m열의 행렬값을 \(1/3\)으로 채워 \(\mathbf{M}\)을 완성합니다.

  1. Spider Traps를 Teleports로 해결하기

Spier Trap인 m 페이지에서 다른 노드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일정 확률 \(1-\beta\)만큼 random 페이지로 점핑(teleport)할 수 있도록 합니다. 즉, 확률 \(\beta\)만큼은 원래 그래프의 out-links 중에 골라서(random) 이동하고 나머지 확률(\(1-\beta\))로는 out-link와 상관없이 그래프의 모든 페이지들 중에 골라서 이동하여 거미줄, Spider trap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 입니다. 보통 \(\beta\)값으로는 0.8~0.9값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The Google Matrix

PageRank에서 생길 수 있는 2가지 문제를 Teleport로 해결한다면 PageRank Equation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첫번째 항은 기존의 수식에 있던 부분으로 페이지 \(i\)의 out-link를 random하게 골라서 이동하는 것에다 확률 \(\beta\)값을 곱해 보통 0.8~0.9의 확률로 out-link를 통해 이동하게 합니다.

두번째 항은 Teleport를로 out-link와 상관없이 그래프의 모든 페이지들중 하나로 랜덤하게 순간이동하는 것을 수식적으로 표현한 부분입니다. 그래프에 존재하는 모든 페이지의 수를 \(N\)이라고 할 때, 추가적으로 \(1/N\)의 확률로 페이지 \(j\)로 갈 수 있고 이는 앞서 확률 \(\beta\)를 제외한 나머지 확률, 약 0.2~0.1의 확률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1-\beta\)를 곱해줍니다.

\[ r_{j}=\sum_{i \rightarrow j} \beta \frac{r_{i}}{d_{i}}+(1-\beta) \frac{1}{N} \]

(단, 위의 수식은 \(\mathbf{M}\)에 dead ends가 없다고 가정하며, 실제로 모든 dead ends를 없애거나 dead ends인 부분들에는 random teleport를 확률1로 따르게 하여 계속 다른 노드로 이동하게 할 수 있습니다.)

구글 매트릭스는 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단지 위의 PageRank equation을 행렬식으로 바꿔쓰면 구글 매트릭스가 됩니다. 각각의 항들이 의미하는 바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두번째 항의 \(\left[\frac{1}{N}\right]_{N \times N}\)는 행렬의 모든 원소가 \(\frac{1}{N}\)으로 채워진 \(N \times N\)차원의 행렬을 말합니다.

\[ G=\beta M+(1-\beta)\left[\frac{1}{N}\right]_{N \times N} \]

Random Teleports (\(\beta=0.8\))

아래의 \(\beta=0.8\)일 때 Random Teleports 예시에서 검은색 선들은 teleports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그래프의 directed links를 표현하며 초록색 선들은 0.2확률의 teleports가 추가된 부분을 나타냅니다. Power iteration을 통해 계산되면 페이지 \(y, a, m\)이 각각 \(7/33, 5/33, 21/33\)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고 spider trap인 페이지 m이 모든 importance를 흡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olving PageRank 정리

  • PageRank \(\mathbf{r} = \mathbf{G} \mathbf{r}\)을 power iteration method로 풀 수 있다.
  • PageRank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인 Dead Ends와 Spider TrapsRandom Uniform Teleportation으로 해결할 수 있다.

Original Lecture Video : CS224W: Machine Learning with Graphs 2021 Lecture 4.2 - PageRank: How to Solve?

4.3 - Random Walk with Restarts

Recommendation

추천 시스템에서 이분그래프(Bipartite graph)로 user와 item의 (구매)관계를 나타낸 Bipartite User-Item Graph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여기에서 특정 item Q를 구매한 user에게 어떤 item을 추천해주는 것이 좋을지를 고민한다면, 직관적으로 item Q가 item P와 비슷하게 user들과 관계를 가지고 있을 때 item P를 이 유저에게 추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item Q와 item P가 얼마나 가까운 관계인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Node proximity Measurements

노드 근접성(proximity) 측정에 대해 생각해보기 위해 아래의 3가지 케이스를 보겠습니다. A-A’B-B’보다 더 가까운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A-A’ path에서 user을 한번만 거치는데 반해, B-B’path에서는 B-user-item-user-B’ 로 path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입니다. A-A’C-C’를 비교해보면 C-C’이 더 가까운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C-C’A-A’보다 더 많은 공통의 이웃(Common Neighbors)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C-C’A-A’의 shortest path가 2개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Proximity on Graphs

이전에 PageRank를 다시 떠올려보면, (1) rank는 node의 “importance”를 정의하며 (2) 그래프의 모든 node들에 균일 분포로 teleport 이동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었습니다.

여기에 좀 더 아이디어를 덧붙여서 Personalized PageRank 알고리즘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프의 모든 노드들에 대해 균일 분포로 teleport 이동을 하는 것이 아닌, 그래프 노드들의 부분집합(subset) \(\mathbf{S}\)의 노드들로만 teleport 이동을 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모든 노드들로 랜덤하게 teleport하지 않고 좀 더 연관성이 높은 노드들로 teleport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item Q와 item P가 더 연관성이 높다는 것(Node proxmity ↑)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이는 Random Walks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Random Walks

item Q가 우리가 알고싶은 item 노드들의 집합인 QUERY_NODES집합에 속해있다고 해봅시다. Bipartite User-Item Graph 상에서 QUERY_NODES 집합에 속해 있는 어떤 노드(item Q)에서 시작하여 랜덤하게 움직이면서 과정을 기록합니다. 이 과정을 기록한다는 것은 item↔︎user 사이를 계속 랜덤하게 움직이면서 방문(visit)하게 된 item 노드에는 +1 count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랜덤하게 움직이면서 이동을 결정할 때마다 일정 확률 ALPHA 만큼 재시작을 하게되는데, 재시작시에는 QUERY_NODES집합에 속해 있는 하나의 노드로 이동해서 다시 랜덤하게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아래 pseudo code 참고)

이렇게 계속 Random Walks를 하다보면 item 노드의 visit 수가 높을수록 query item Q와 높은 관계성을 가진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Benefits

이와 같은 Random Walks를 통한 시뮬레이션과 visit 수로 노드들간의 근접성(proximity)을 판단하는데 좋은 이유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similarity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 Multiple connnections
  • Multiple paths
  • Direct and Indirect connections
  • Degree of the node

PageRank Varients 정리

PageRank와 이를 변형한 총 3가지 알고리즘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ageRank Personalized PR Random Walk w/ Restarts
모든 노드들에 같은 확률로 teleport 이동 특정 노드들로 특정 확률을 가지고 teleport 이동 항상 똑같은 1개의 노드로 이동


Original Lecture Video : CS224W: Machine Learning with Graphs 2021 Lecture 4.3 - Random Walk with Restarts

4.4 - Matrix Factorization and Node Embeddings

Recall: Node Embeddings & Embedding matrix

이전 강의에서 배웠던 embedding matrix \(\mathbf{Z}\)에 대해 다시 떠올려봅시다. 이 매트릭스는 그래프의 각 노드들을 잠재변수 공간(embedding space)으로 encoding하는 행렬로 열의 차원은 embedding하는 크기, 행의 차원은 그래프에 있는 노드의 수가 됩니다. 이 매트릭스의 한 열은 특정 노드 \(u\)의 embedding vector \(\mathbf{z}_u\)를 나타내게 됩니다.

이러한 Node embedding에서 objective는 그래프상에서 실제로 유사한 노드들의 simliarity가 embedding vector들의 내적(inner product)값도 높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Matrix Factorization

Embedding matrix를 Matriz Factorization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봅시다. 그래프를 노드들간의 연결이 되어 있으면 1, 아니면 0으로 나타낸 인접행렬 \(\mathbf{A}\)을 embedding matrix \(\mathbf{Z}\)로 factorization 한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즉 \(\mathbf{Z}^{\mathrm{T}}\)\(\mathbf{Z}\)의 내적으로 인접행렬 \(\mathbf{A}\)를 만드는 것입니다.

\[ \mathbf{Z}^{\mathrm{T}} \mathbf{Z} = \mathbf{A} \]

하지만 embedding matrix \(\mathbf{Z}\)의 행의 수, 즉 embedding dimension \(d\)는 노드의 수 \(n\)보다 작으므로 완벽한 factorization을 할 수 없고 대신에 이를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근접(approzimate)시킬 수 있습니다. 이 최적화를 목적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min _{\mathbf{Z}}\left\|A-\boldsymbol{Z}^{T} \boldsymbol{Z}\right\|_{2} \]

결론은 edge connectivity로 정의된 node similarity을 나타내는 decoder(\(\mathbf{Z}\))의 내적은 \(\mathbf{A}\)의 matrix factorization과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RandomWalk-based Similarity

DeepWalk와 node2vec 알고리즘에서는 random walks를 기반으로한 좀 더 복잡한 node similarity를 사용합니다. 2개의 알고리즘 모두에서 matrix factorizatio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DeepWalk에서 사용하는 node simliarity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node2vec은 이보다 조금 더 복잡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면 Network Embedding as Matrix Factorization paper를 참고)

Limitations

Matrix factorization과 random walk로 node embedding을 할 경우 몇가지 제약(단점)이 있습니다.

  1. 그래프에 새로운 노드가 생겼을 때 대응하지 못합니다. training과정에서 보지 못한 노드가 생겼을 때 scratch부터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1. 구조적인 유사성을 파악하지 못합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1-2-311-12-13은 그래프에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각 노드마다 unique한 embedding 값으로 인해 구조적인 유사성을 파악하지 못합니다.

  1. 노드, 엣지, 그래프의 feature 정보를 활용할 수 없습니다. DeepWalk나 node2vec에 쓰인 embedding은 노드에 있는 feature 정보를 활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추후에 배울 Deep Representation Learning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Algorithms 정리

  • PageRank: 그래프에서 노드의 importance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이며 인접행렬의 power iteration으로 계산할 수 있다.
    • 총 3가지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1. Flow formulation
      1. Random walk & Stationary distribution
      1. Linear Algebra - eigenvector
  • Personalized PageRank(PPR): PageRank에서 좀 더 발전시킨 알고리즘으로 random walk로 구한 특정 노드의 중요성을 더 고려하여 teleport를 하는 알고리즘
  • Random walks 기반 Node Embeddings은 Matrix factorization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래프를 행렬로 이해하는 것은 위의 알고리즘들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Original Lecture Video : CS224W: Machine Learning with Graphs 2021 Lecture 4.4 - Matrix Factorization and Node Embeddings